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출산육아

2021 보육료 지원 대상은?

2021. 2. 6.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육료 지원 대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서비스 대상과 제외 대상, 지원 금액, 신청 방법, 구비서류 등에 대해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목차

     

    보육료란?

    보육료는 만0~5세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 가구 아동에게 보육료 등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서비스의 대상은 어떻게 될까요?

     

    지원대상

    보육료의 지원 대상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만 0세~5세의 아이들인데요. 자세하게는 어린이집에 댜니는 만 0세(2020.01.01~2020.12.31 출생), 만 1세(2019.01.01~2019.12.31 출생), 만 2세(2018.01.01~2018.12.31 출생), 만 3세(2017.01.01~2017.12.31), 만 4세(2016.01.01~2016.12.31 출생), 만 5세(2015.01.01~2015.12.31 출생)의 아동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다만 만0~5세에 해당하더라도 지원이 제외되는 대상이 있는데요. 

     

     

    지원 제외대상은?

     

    지원 내용과 금액

    자격구분 지원대상 지원비율 연령 지원단가
    기본보육 야간 24시
    영유아 어린이집 이용
    만0~5세
    100% 만0세반 47만원 47만원 70만 5천원
    만1세반 41만 4천원 41만 4천원 62만 1천원
    만2세반 34만 3천원 34만 3천원 51만 4천 5백원
    만3세반 24만원 24만원 36만원
    만4세반 24만원 24만원 36만원
    만5세반 24만원 24만원 36만원

    보육료는 연령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시간대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지는데요. 최소 24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의 지원이 가능합니다. 이 보육료는 양육수당과 종일 돌봄 서비스와 함께 신청할 수 없는데요. 때문에 지원 혜택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선택하기를 추천드립니다. 양육수당에 대해 궁금한 분들은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기회가 된다면 수당들을 비교하는 글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지원 내용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위의 표는 지원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놓은 표입니다. 궁금한 분들은 참고바랍니다.

     

    보육료 신청 방법

    보육료의 신청방법은 1) 방문과 2) 온라인으로 나뉘는데요. 신청 방법과 제출 서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방문신청

    먼저 방문을 통해 지원을 신청한다면 아동의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보육료 지원을 신청하면 됩니다. 이때 신청자는 부모와 보호자 모두 가능한데요. 제출 서류로는 사회복지 서비스 및 급여 제공(변경 신청서), 취학유예 아동의 경우 취학유예 확인서, 연장 보육형 사유 확인서, 연장 보육형 요청 자기기술서, 고용(근로)확인서, 연장보육형 자격 사유 및 제출서류, 복직 예정 신청서, 건강보험, 고용보험 가입 여부입니다.

     

    2) 온라인 신청

    다만 온라인으로 지원 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오직 부모만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온라인 제출 서류는 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아이의 부모라고 하더라도 온라인으로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는데요. 이 또한 아래의 이미지를 통해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온라인 제출 서류

    * 온라인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

     

    신청서 작성 방법 주의사항

     

    오늘은 보육료의 지원 대상과 금액, 신청방법에 대해 모두 알아봤는데요. 영유아 복지 서비스는 자녀를 키우는 분들의 필수적인 권리이므로 지원 대상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하기를 추천드립니다. 다음번에는 아이 돌봄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분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